구기범 약사컬럼

HOME풀마루와 유기농구기범 약사컬럼

구기범 (한)약사 건강컬럼

제목 콜레스테롤 조절을 위한 음식
작성자 Dr.Maru 작성일 2009-09-25 조회수 2626

 

대두단백이란 콩류에서 탄수화물 및 지방을 제거하고 단백질 부분만 분리한 것으로 영양학적으로 완벽한 식물성 단백질이라 할 수 있고, 꾸준히 복용하면 콜레스테롤과 중성 지방의 양을 떨어뜨린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식물스테롤(phytosterol)은 식물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물질로 화학적으로는 동물에서 발견되는 콜레스테롤과 매우 유사합니다. 식물 스테롤의 혈중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는 이유는 완벽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위장관에서 식이 콜레스테롤의 흡수와 장간순환에 의한 내인성 콜레스테롤의 재흡수를 억제하고 변으로의 배설을 증가시켜 혈중 LDL의 수치를 낮추는 것으로 보고 되었습니다.

 

홍곡(red yeast rice)은 붉은 효모로 발효시킨 쌀로써 1000여년 전부터 중국에서 의약품으로 사용하였는데 중국 고서에 의하면 혈액순환, 소화불량 및 설사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왔습니다. 최근에는 홍곡의 콜레스테롤 조절작용에 대해 많은 동물 및 임상실험 결과가 보고 되고 있습니다. 홍곡의 성분중에 콜레스테롤 조절작용을 나타내는 활성성분을 monacolin K로 현재 약품으로 등록되어 있는 LOVASTATIN의 주성분입니다. 이 약품은 정말로 시중에 많이 처방되어 집니다.

 

타우린(taurin)은 우리 몸에 많이 존재하는 아미노산의 일종으로서 문어, 오징어, 새우, 패류에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타우린은 체내에서 합성되지만 그 양이 매우 적으므로 체내 타우린이 부족할 때에 동물 단백질이나 어류 단백질을 섭취 하도록 하는데 그 이유는 타우린은 동물성 단백질에 많고, 식물성 단백질에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 생리 기능에 담즙생성과 콜레스테롤 농도 조절을 하여 콜레스테롤 수치를 저하 시킨다고 합니다. 그 외에 뇌에서 신경 조절 활성, 삼투압 조절 및 활성, 항 경련활성을 나타냅니다.

 

참마는 흔히 강정, 강장에 좋다고 하는데 중국 의학에서는 참마 건조 시킨 것을 산약이라고 해서 정력의 쇠퇴뿐만 아니라 설사나 변비, 체증 등의 위장 장애, 빈뇨, 당뇨병, 다리와 허리가 약한 사람, 만성 피로 등에 널리 효과 있는 생약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국내에서도 이용하고 있고요. 참마의 미끈미끈한 성분에는 동물성 지방의 과잉섭취로 인한 동맥경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데, 이것은 수용성 식물섬유에 단백질이 결부된 것으로 장내에서 콜레스테롤과 담즙산과 결합하여 변으로 배설됩니다.

 

담즙산은 간장에서 콜레스테롤을 원료로 생산되어, 담즙 소화액의 주성분으로서, 십이지장에 분비되는 물질입니다. 소화역할을 끝낸 담즙산은 장에서 재흡수되어 간으로 돌아와 재이용 됩니다. 참마의 수용성 식물섬유는 식사에 함유되어 있는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억제하므로, 간에서 새로운 담즙산을 만들기 위해 콜레스테롤이 계속 소비되며, 그 결과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내려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삭제하기 수정하기 목록으로